올크레딧 신용등급 조회로 내 신용을 파악할 수 있다. 올크레디트(KCB) 내 서비스 열람을 통해 내 신용점수, 내 신용변동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올크레딧의 전 국민 무료 신용조회는 연간 3회 무료이며, KCB 아이핀을 발급받은 후 본인인증을 한 후에 무료 신용조회를 할 수 있다.
올 크레디트(KCB) 전 국민 무료 신용조회
올 크레디트에 접속한다. 메뉴 중에 오른쪽의 '내 서비스 열람-내신용 점수" 클 클릭 하면, '안심 로그인'이라고 해서 네이버, 카카오, 페이코, 휴대폰 본인인증, 신용카드 본인인증'을 하여 신용조회를 할 수 있다. 회원가입을 하면 금융기관 평가용 신용위험도 무료로 조회할 수 있다고 한다. 나는 올 크레디트 회원 가입자라서 개인회원으로 로그인을 하였다.
휴대폰 인증 절차를 거친다. 다들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를 선택하고 휴대폰본인확인(문자)로 인증번호를 받아서 입력하여 인증을 받는다. 엘지유플러스(LG U+)의 경우 간편 본인 확인(앱) 방식으로 Pass앱을 통하여 할 수 있다. 휴대폰에서 Pass앱 비밀번호 등을 넣고 인증 확인하여 간편 본인 확인 완료하였다.
로그인이 되니, 화면 우측에 내 신용점수 "? 점" 이 보이고, 내 변동내역은 "5건", 금융거래 가능성 "낮음", 신용향상 진단 "낮음", 신용조회 안심 "위험"으로 나타난다. 내 신용점수를 클릭해서 점수를 보고자 하니 서비스에 가입이 안되어 있어서 볼 수 없단다. 신용점수를 보려면 유료 서비스에 가입해야 하며, 1년 25,800원, 2년 46,400원, 3년 67,300원, 72시간 18,000원 중에서 선택해서 가입할 수 있다.
일단 전국민 무료 신용조회를 먼저 해 보기로 하고, 다른 신용 관련 서비스는 이후에 이용해 보기로 한다.
전 국민 무료 신용조회 열람(회원)
전국민전 국민 연 3회 신용정보 조회를 무료로 제공한다. 신용정보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 국민 연 3회 신용정보 조회 무료 제공한다. 4개월마다 1회씩(1회 : 1월~4월, 2회 : 5월~8월, 3회 : 9월~12월) , 일단 이용에 들어가면 신청일로부터 24시간 이내 횟수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한 회차에 회원 열람 또는 비회원 열람 중 한 가지만 이용할 수 있고, 비회원으로 열람하면 조회할 때마다 비회원 정보 입력 및 본인인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전 국민 무료 신용조회 열람(회원)'을 클릭하였다. 로그인과 아이핀 인증 후에 KCB아이핀 앱을 휴대폰에 설치하고 인증하면 열람이 가능하다.
KCB 아이핀 발급 위해 휴대폰에 앱을 설치하여 사용자 등록하고 실제 아이핀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하여 로그인하기까지 생 지랄을 한 뒤에 성공할 수 있었다. 도대체가 KCB아이핀 발급받아서 이용하기가 왜 이렇게 어려운지 우여곡절을 겪고 나서 겨우 로그인에 성공하였다. 수많은 회원가입, 로그인 인증 절차를 거치는 수많은 서비스들을 이용해 봤지만 근 1시간 30분을 헤맨 것은 KCB아이핀 발급이 처음이다. 이는 이용자를 탓하기 전에 KCB아이핀 발급절차가 사용자 편의성에 맞추어 프로그래밍되어서 서비스되고 있는지 그 회사 담당자들이 정말로 우리나라 보통의 일반 국민 눈높이에서 테스트해 보고 서비스 개선을 해주기를 바란다. 참고로 나는 디지털 이용능력면에서 국내 10% 내에는 충분히 들어가는 수준이라는 것을 밝혀둔다. 나의 디지털 이용 능력을 탓하지 마시라. 나는 평균 이상 이용자다. 평균이상 이용자가 사용에 애로를 겪으며 불편하다면 유저 인터페이스가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이용자 중심으로 UI가 디자인되어있지 않고 사용 매뉴얼이 프로그래밍되어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ㄴㅣㅁㅣㄹㅓㄹ.
무료 신용조회 항목
신용평점, 개설·발급정보, 단기 카드대출, 대출정보, 연체정보, 기타 연체정보, 보증정보, 신용조회 등 8개 항목에 대한 신용조회 결과를 볼 수 있다. 물론 8개 항목별로 세부적으로 추가 정보를 볼 수 있는 것도 있다.
일단 신용정보 조회를 하게 되면 이용 가능시간이 만 하루이다. 나의 경우 2021.04.23 21:43~2021.04.24 21:43 신청 후 횟수에 관계없이 24시간 내에 재조회가 가능하다고 안내되었다.
자 그러면 무료 신용 조회한 결과 8개 신용도 관련 항목에 대하여 차례로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내 개인정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은행, 카드, 대부업체 회사 이름은 나만 알아볼 수 있는 닉네임으로 변경하여 나타내고, 기타 일부 대출, 카드론, 연체액, 해당 날짜 등도 조금씩 변경하였다. 그렇지만 신용조회의 내용이 어떻게 어떤 식으로 보이는지 이해하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을 것이다.
신용평점
개인의 신용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신용평점 정보이다. 종합평점 150점, 종합 백분위 상위 100%이다. 장기간 연체로 채무불이행자이다 보니 당연한 예상이었지만 불명예스러운 최하위 신용도에 랭크된 것 같다.
신용영향요인에서 보면 "통계분석 결과 유의미한 긍정적 사유가 없습니다." 현재 90일 이상 연체 중입니다. 전 국민 보유비중이 31.5%라고 나온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포스팅 : 신용등급점수로 개인 신용평가 방식 변경
신용등급점수로 개인 신용평가 방식 변경
신용등급점수제로 개인신용평가 방식 변경되었다. 2021.01.01.부터 종전의 신용등급(1~10등급)을 산정하지 않고 신용점수(1~1,000점)만 산정하는 신용점수제로 전환된 것이다. 개인신용평가의 불합리
defaulter.tistory.com
개설·발급정보
금융기관에서 신용(체크) 카드를 발급받거나, 가계(당좌) 예금을 개설한 정보이다. 명동 카드에서 관리점명 서울(본) 등록사유가 신용카드 발급이고, 발생일자는 2004.05.12일로 1건이다.
신용변동내역(최근 1개월)은 "변동 있음"이다. 신용카드 발급 및 해지사실 등의 금융 개설정보와 거래 개설 정보 변동인데, 변동 확인을 클릭해 보니 역시나 유료 서비스 회원 가입해야 확인이 가능하다.
단기 카드대출(현금서비스) 정보
신용카드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사용잔액 정보이다. 명동카드에서 2015.01.21에 발생했고, 변동일자는 2019.09.02.이고 금액은 900천 원이다.
올크레디트(KCB)에 수집되어 제공되는 정보는 고객님이 금융기관과 여신거래(카드, 대출, 보증 등)를 한 경우에 제공되는 정보이므로 금융기관과 여신거래를 하지 않으신 경우, 신용정보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대출정보
금융기관별 대출금액, 대출건수, 대출일자 등 개인대출에 대한 정보이다. 최근 1개월 동안 신용변동내역은 "변동 없음"이다. 즉, 대출 개설 및 해지에 대한 금융거래 정보와 대출잔액 정보 변동이 없다는 것이다.
기관명 | 등록사유 | 대출일자 | 금액(천원) | 변동일자 | 대출구분 |
명동카드 | 카드론대출 | 2015.04.21 | 4,170 | 2016.11.03 | - |
본관카드 | 카드론대출 | 2014.07.03 | 3,450 | - | - |
본관카드 | 카드론대출 | 2014.05.30 | 9,996 | - | - |
회현카드 | 카드론대출 | 2014.04.16 | 20,000 | 2016.11.18 | - |
회현은행 | 일반대출 | 2013.09.03 | 8,550 | 2015.12.18 | 신용대출 |
합계 | 5건 | 46,166 |
연체정보
카드연체, 대출 연체, 대지급에 대한 정보이다.
카드연체는 "해당 내역이 없습니다." 올크레딧에서 수집한 카드 관련 미해제 연체정보이다.
대출 연체는 올크레딧에서 수집한 대출 관련 미해제 연체정보이다. 1개가 있다.
기관명 | 최초연체 기산일자 | 최초연체금액 | 상환금액 | 연체잔액 | 연체일수 |
회현은행 | 2015.09.04 | 8,550 | 38천원 | 9,133 | 2,059일 |
합계 | 1건 | 미해제연체금액 | 913만원 |
최근 1개월 신용변동내역은 "변동 없음"이다. 카드, 대출, 대지급의 변제 미이행 관련한 등록/해제/삭제 정보에 변동이 없다는 것이다.
대지급은 보증보험증권을 담보로 한 금융거래(지급보증) 후 계약을 이행하지 않아 보증보험사에서 대위 변제한 정보이다. "해당 내역이 없습니다."이다.
기타 연체정보
장기연체정보, 공공정보, 금융질서문란 정보에 대한 것이다.
장기연체정보는 신용정보사에 인수된 부실채권 또는 상거래 등 비금융권에서 발생한 3개월 이상 연체 및 금융기관이 한국신용정보원(CIS)에 등록한 연체정보이다. 여러 건이 있다.
주목할 점은 첫 번째 항목에 나오는 여의도은행 건으로 등록금액 6,000천 원에 대한 소멸시효완성으로 2021.02.23. 채무불이행 정보가 해제되었다는 것이다. 놀랍다!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니 동 채무에 대한 채무변제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처음 확인한 내용이다. 지급명령으로 소멸시효가 10년으로 연장되었을 것인데 소멸시효완성으로 채무불이행정보가 해제되었다니. 무슨 사무착오가 아니라면 채무 상환 의무가 사라진 것인데? 은행이 일을 허투루 했을 리는 없을 테고.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포스팅 : 소멸시효완성 여부 확인 한국신용정보원 소각채권통합조회시스템
소멸시효완성 여부 확인 한국신용정보원 소각채권통합조회시스템
소멸시효 완성 여부를 한국신용정보원 크레딧포유를 통해 소각채권통합조회로 알 수 있다. 소각 채권에 대한 상세정보는 해당 금융기관의 소속 공사나 기관단체에 문의해야 알 수 있다. 금융
defaulter.tistory.com
기관명 | 수집기관 | 발생일자 | 연체금액(천원) | 상환일자 | 상세(항목별로 '상세보기' 클릭하여 정보 확인) |
여의도은행 | CIS | 2016.02.24 | 0 | - | 채무불이행정보 : 등록금액 6,000, 등록사유 0101 해제일자 2021.02.23, 해제구분: 소멸시효완성 |
회현은행 | CIS | 2015.12.04 | 8,550 | - | 채무불이행정보 : 등록금액 8,550, 등록사유 0101 해제일자 : - , 해제구분: - |
명동카드 | CIS | 2015.11.09 | 863 | - | 채무불이행정보 : 등록금액 4,392, 등록사유 0103 해제일자 : - , 해제구분: - |
명동카드 | CIS | 2015.11.09 | 2,012 | - | 채무불이행정보 : 등록금액 2,608, 등록사유 0104 해제일자 : - , 해제구분: - |
회현카드 | CIS | 2015.10.30 | 7,399 | - | 채무불이행정보 : 등록금액 7,399, 등록사유 0104 해제일자 : - , 해제구분: - |
본관카드 | CIS | 2015.10.28 | 3,450 | - | 채무불이행정보 : 등록금액 3,450, 등록사유 0103 해제일자 : - , 해제구분: - |
본관카드 | CIS | 2015.10.28 | 3,790 | - | 채무불이행정보 : 등록금액 3,790, 등록사유 0104 해제일자 : - , 해제구분: - |
본관카드 | CIS | 2015.10.28 | 9,996 | - | 채무불이행정보 : 등록금액 9,996, 등록사유 0103 해제일자 : - , 해제구분: - |
회현카드 | CIS | 2015.10.25 | 19,999 | - | 채무불이행정보 : 등록금액 19,999, 등록사유 0103 해제일자 : - , 해제구분: - |
합계 | 9건 | 56,059천원 |
* 등록사유 내용 : 0101= 연체정보 대출금 연체(대출원금, 이자 등을 3개월 이상 연체한 거래처), 0103=연체정보 대출금 연체(5만 원 이상의 카드론 대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한 거래처), 0104=연체정보 신용카드대금 연체(5만 원 이상이 신용카드대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한 거래처).
공공정보는 국세, 지방세, 관세 등의 체납정보 및 법원 판결에 의한 회생 및 파산면책 등의 정보이다. 신용조회 결과는 "해당 내역이 없습니다."이다.
금융질서문란 정보는 금융사기 등과 관련하여 법원의 판결을 받거나, 사기 및 결탁 등의 금융거래정보이다. 신용조회 결과는 "해당 내역이 없습니다."이다.
최근 1개월 신용변동내역은 "변동 없음"이다. 장기연체, 공공정보, 금융질서문란과 관련한 등록/해제/삭제 정보 변동이 없다는 것이다.
보증정보
타인 또는 기업의 금융거래에 대한 연대보증 정보이다. 신용조회 결과는 "해당 내역이 없습니다."이다.
최근 1개월 신용변동내역은 "변동 없음"이다. 각 금융기관과 제3자와의 거래 시 보증 계좌 관련한 개설/해지 정보 변동이 없다는 것이다.
신용조회
최근 3년 내에 금융기관 등에서 개인의 신용정보를 조회한 내역이다. 신용조회 결과는 "해당 내역이 없습니다."이다.
최근 1개월 신용변동내역은 "변동 없음"이다. 금융거래 시 본인의 신용조회 발생 정보 변동이 없다는 것이다.
자신이 신용은 자기가 관리
신용평점과 신용평가에 활용되는 금융정보를 한눈에 확인하고, 신용을 관리하라고 한다. 개인 신용도는 대출, 카드 발급, 자동차 할부구매 등 생활 속의 주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단다. 평소에 잘 관리해 둔 개인의 신용도는 대출금리가 낮아지는 등 금융거래 시, 실질적인 혜택으로 돌아온단다. 누가 모르나 살다가 보니 어째 장기연체를 하고 채무불이행이 되고 신용도가 바닥을 기게 된 것이지. 하지만 언젠가 연제를 해결하고 신용도도 회복 복귀하리라는 기대로 산다.